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요양병원 등급제 확인 및 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

by 똘망이남 2023. 7. 19.
반응형

 어르신분들이 몸이 불편해 불가피하게 요양병원 시설에 의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요양병원 등급제를 실시하고 있어 어떤 시설이 잘 운영이 되고 편안하게 어르신을 모실 수 있는지 직접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장기요양등급을 받아 보살핌에 들어가게 되는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가 있습니다.

 

장기요양등급-신청방법-글자
썸네일

 

◼︎ 요양병원 등급제

 일반적으로 몸이 불편한 어르신을 요양병원에 모실때 집에서 가까운 시설을 알아보거나 주변의 평을 참고로 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등급을 부여하는 요양병원 등급제 시스템이 이미 마련되어 있습니다.

 

 1등급 ~ 5등급으로 분류가 되는 요양병원은 심사평가원에서 꼼꼼하게 매년 평가를 하여 결과를 내놓게 됩니다. 병원 시설, 인력, 자격 등의 심사평가 과정을 거치게 되고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하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1등급에 가까울수록 요양병원을 이용하는 분이 좀 더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요양병원 등급확인 방법

 심사평가원 사이트에 방문하여 요양병원의 등급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맞게 시설이용 계획을 뚜렷하게 새울 수가 있습니다. 객관성을 보이는 평가내용으로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믿을 수 있습니다.

  1.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접속을 합니다.
  2. 우측 가로세줄 탭을 선택하여 "의료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
  3. "의료평가정보" => "병원평가" 메뉴를 클릭합니다.
  4. 요양병원 검색을 하여 "평가정보 상세 보기" 클릭을 합니다.
  5. 해당 요양병원 등급을 확인합니다.
  6. 등급 이외에도 해당 요양병원의 진료과목, 의료진인력, 구비시설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손에-하트가-올라간모습
하트

◼︎ 장기요양부담 상한제등급

 요양병원에서 발생되는 비용을 본인이 부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 부담금 상한제가 실시되고 있어 10 분위 ~ 1 분위까지 분류가 되고 있고 저소득층에 가까울수록 1 분위에 가까워지게 되고 본인부담 상한제가 낮게 책정됩니다. 여기에서 환급금 제외가 되는 항목은 비급여진료, 상급병실 입원, 임플란트등 치료, 추나요법, 상급종합병원 외래진료 등이 있습니다.

 

장기요양등급을 미리 받고 요양병원을 이용하게 되면 건강버험공단측의 지원을 80% ~ 100%까지 받을 수 있어 사전에 문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

  1. 직접방문을 할시는 '해당 공단 지사'를 방문하면 되고 인터넷 신청은 '장기요양홈페이지' 민원상담실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본인 방문이 어려울 시 대리인(가족, 친척, 사회복지사 등)을 통해 대리신청이 가능합니다.
  3. 공단에서 직접 방문을 하여 어르신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4. 1등급 ~ 5등급까지의 요양등급 안에서 판정이 나게 되고 치매증상이 있다면 인지지원등급을 받게 됩니다.
  5. 30일 이내 결과를 받게 되고 공단에서 인증서류를 보냅니다.

 

요양보호사 교육시간 및 합격률 적용범위 알아보기

 

요양보호사 교육시간 및 합격률 적용범위 알아보기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요양보호사 준비를 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요양보호사에 도전을 할 수가 있으면 일정 교육시간을 이수하고 시험을 치를 수

handnail.tistory.com

 

 

반응형

댓글